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스터디/SQL31

[정리노트] SQLD 2024년 개정판 - 관계와 조인의 이해 [정리노트] SQLD 2024년 개정판 - 관계와 조인의 이해 관계(Relationship)의 개념  엔터티의 인스턴스 사이의 논리적인 연관성  엔터티의 정의, 속성 정의 및 관계 정의에 따라서도 다양하게 변할 수 있음  관계를 맺는다는 의미는 부모의 식별자를 자식에 상속하고, 상속된 속성을 매핑키 (조인키)로 활용> 부모 자식을 연결관계(Relationship)의 분류  관계는 존재에 의한 관계와 행위에 의한 관계로 분류  존재 관계는 엔터티 간의 상태를 의미  사원 엔터티는 부서 엔터티에 소속  행위 관계는 엔터티 간의 어떤 행위가 있는 것을 의미  주문은 고객이 주문할 때 발생조인의 의미   결국 데이터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테이블은 정규화에 의해 분리된다. 분리되면서 두 테이블은 서로 관계를 맺게.. 2024. 8. 13.
[정리노트] SQLD 2024년 개정판 - 정규화 [정리노트] SQLD 2024년 개정판 - 정규화 함수적 종속성(Functional Dependency)의 개념과 기본원리  개념  데이터들이 상호 종속되는 현상, 결정자와 종속자의 관계  X → Y: 결정자(DERTERMINANT)인 X가 종속자(DEPENDENT)인 Y를 결정  기본 원리  속성의 부분집합 X → Y에서 Y에 대응되는 X는 하나만 존재  X가 기본키인 경우, 모든 속성 Y는 X에 종속  X → Y인 관계에서 X가 후보키가 아닐 경우 이상현상이 발생할 수 있음  이상현상: 릴레이션에 테이터를 조작할 때 의도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데이터 불일 혹은 누락이 발생하는 현상으로 ‘삽입이상, 갱신이상, 삭제이상’ 이 있음  삽입이상: 구조적 문제 때문에 불필요한 데이터까지 함께 갖춰서 추가.. 2024. 8. 7.
[정리노트] SQLD 2024년 개정판 - 식별자 [정리노트] SQLD 2024년 개정판 - 식별자 식별자개념  각 인스턴스를 구분할 수 있는 논리적인 이름  엔터티 내의 각 인스턴스를 개별적으로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ex) 고객(고객번호), 사원(사원번호), 주문(주문번호), 상품(상품번호) 특징모든 인스턴스들이 유일하게 구분속성의 수는 유일성을 만족하는 최소의 수자주 변하지 않는 것이어야 한다반드시 값이 들어와야 한다 분류  본질 식별자 = 원조 식별자 (Original)  인조 식별자 = 대리 식별자 (Surrogate) 식별자 도출 기준해당 업무에서 자주 이용되는 속성을 주식별자로 지정한다명칭, 내역 등과 같이 이름으로 기술되는 것들은 가능하면 주식별자로 지정하지 않는다.복합으로 주식별자를 구성할 경우 너무 많은 속성이 포함되지 않도록 한다 .. 2024. 8. 4.
[정리노트] SQLD 2024년 개정판 - 속성 [정리노트] SQLD 2024년 개정판 - 속성 속성개념 - 업무에서 필요로 하는 인스턴스에서 관리하고자 하는 의미상 더 이상 분리 되지 않는 최소의 데이터 단위  업무에서 필요로 해야한다.  의미상 더 이상 분리되지 않는다.  엔터티를 설명하고 인스턴스의 구성요소가 된다. 엔터티, 인스턴스, 속성, 속성값의 관계  한 개의 엔터티는 두 개 이상의 인스턴스의 집합 이어야 한다.  한 개의 인스턴스는 두 개 이상의 속성을 갖는다.  한 개의 속성은 한 개의 속성값을 갖는다.  예시  엔터티 (고객) → 인스턴스 (홍길동, 이순신) → 속성 (홍길동 성별코드, 이순신 성별코드) → 속성값 (남)  이름, 주소, 생년월일과 같은 각각의 값을 대표로 하는 이름들을 속성이라고 하고, 홍길동, 서울시 강서구, 19.. 2024. 7. 29.
반응형